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탈잉 김나무 이모티콘 챌린지 DAY 53

탈잉X김나무 데일리미션

by 리액트바오 2025. 7. 3. 22:08

본문

5-5 미승인 받았다면 '이 것'을 수정해 보세요!

수강시작  인증 샷
수강종료 인증샷

김나무 작가님은 열정적인 나의 사랑을 보여줄게라는 이모티콘을 제안했을 때

미승인을 받았었는데 미승인을 받고 나서 카카오가 아닌 네이버 오지큐 마켓에서

판매를 했었다고 한다. 그런데 오지큐 마켓에서 이 이모티콘을 너무 좋아해서

카카오톡에서도 사용하고 싶다. 라는 어떤 분의 댓글에 작가님은 카카오톡에

다시 제안을 해볼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고쳐보기로 했다. 미승인 받았던 이모

티콘은 멈춰 있는 이모티콘이었는데 움직임이 들어가야 더 재미어지 않을까 해서

애니메이션을 넣고, 선이 전체적으로 얇아서 힘이 없는 느낌인 것 같아서 선굵기를

조금 더 굵게 수정을 했다. 그렇게 다시 제안을 했는데 바로 승인을 받았고 카카오톡

에서 출시를 할 할 수 있게 되었다고한다. 무조건 멈춰 있는 이모티콘을 움직이는

이모티콘으로 바꾸고 선을 굵게 한다고 해서 승인을 받는 것은 아니고 이모티콘마다

미승인의 이유가 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이모티콘을 잘 관찰하고 별로인 것 같은

부분을 찾아서 고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 수정했다가 승인된 사례는요 숭모티콘 2탄인데 '열정적인 나의 사랑을

보여줄게' 이모티콘과 반대로 숭모티콘은 움직이는 이모티콘을 멈춰 있는 이모티

콘으로 바꿔서 승인이 되었다. 작가님께서는 숭모티콘은 움직이는 것이 매력적인

이모티콘이 아니라 말장난이 재미있는 이모티콘이기 때문에 멈춰있는 이모티콘

32개로 바꾸고 말장난을 더 넣어줬던 것이 더 좋게 작용이 됐다고 한다. 

그리고 순서도 중요한데,

재밌다고 생각되는 시안은 위로 올리고 덜 재미있는 시야는 아래 순서로 

옮겨주는것이좋다. 우선 미승인된 이모티콘을 수정할 때

팁 첫 번째는 재미있는 시안이 앞으로 가게 넣어주는 것이다.

내가 봤을 때 콘셉트가 잘 살면서 재미있게 느껴지는 시안이 있을텐데 그 시안을

킬링 시안이라고도 부른다. 그 킬링 시안을 최대한 앞으로 몰아줘야한다. 작가님도

항상 하는 방법이지만 이렇게 하면 승인될 확률이 더 올라간다고 한다. 그리고 수정할 때

두 번째 팁은 이모티콘 스튜디오에서 한눈에 봤을 때 이모티콘이 다양한 느낌이 들어야한다.

다양한 느낌을 주려면 소품이나 이펙트 색깔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그리고 캐릭터의 구도가 너무 일관되지는 않는지 체크하자.

세 번째는 텍스트를 수정한다.

텍스트가 너무 길고 복잡하다면 짧게 줄여도 좋고 더 어울리는 폰트를 찾아서 수정해

보는 것도 좋다. 한눈에 메시지가 잘 들어오는지 캐릭터와 잘 어울리는지가 중요하다. 

네 번째는 선 굵기를 수정하는 것이다.

캐릭터가 뭉쳐 보일 정도로 너무 선이 두껍다면 약간 얇게 수정을 해주고

캐릭터의 선이 너무 얇아서 힘이이 없어 보이고 잘 안 보였다면 선을 살짝

붉게 수정하는 것도 좋다. 

다섯 번째는 멈춰있는 이모티콘이라면 움직이는 이모티콘으로 변경해 본다.

작가님이 움직이는 이모티콘으로 바꿔서 승인을 받았듯이 움직이는 이모티콘으로 

바꿨을 때 더 매력 있는 이모티콘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움직이는 이모티콘 작업이 

가능하다면 움직이는 이모티콘으로 바꿔보시는 것이 좋다. 반대로 숭모티콘처럼

멈춰 있는 이모티콘으로 바꿨을 때 더 매력이 있을 것 같다면 멈춰있는 이모티콘으로 

바꾼다.

여섯 번째는 그림체나 캐릭터의 비율 색감이 통일되어 있는지 체크해 본다.

초보자가 많이 하는 실수인데 그림체가 낙서체였다가 귀여웠다가 왔다 갔다 할 때가

있다. 그럴 때는 하나의 스타일로 통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캐릭터 비율도 

2등신으로 정했다면 계속 2등신으로 그려줘야 한다. 캐릭터 비율이 자꾸 바뀐다면

퀄리티가 좀 떨어져 보 보일 수도 있다. 색감도 마찬가지로 내가 파스텔 색상을

사용하겠다 하면 캐릭터 배경 소품 모든 것을 다 파스텔 색상으로 통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곱 번째는 메시지가 재미있는지 체크해 본다. 

내가 재미있는 이모티콘을 만들려고 의도했을 때 이 메시지들이 나에게만 재미있는 

것은 아닌지 다른 사람에게도 재밌을지 한번 고민을 해봐야한다. 내가 판단하기 힘들

다면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방법니다.

여덟 번째는 재미와 귀여움 둘 중에 하나를 제대로 잡았는지 체크를 해본다.

재밌는 이모티콘을 선택했다면 이모티콘의 콘셉트나 들어있는 메시지가 사람들이 

봤을 때 확실하게 재밌게 느껴지는 요소가 있는지 체크해봐야하고 귀여운 캐릭터를 

선택했을 때도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이 귀엽게 느껴질 만한 캐릭터인지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8가지 방법 말고도 캐릭터의 표정이나 행동이 잘 보이는지, 전체적으로 컨셉트과

어울리는 메시지들이 들어가 있는지, 내 컨셉트가 눈에 띄고 개성 있는 콘셉트인지

하나라도 해당이 안 되는 것이 있다면 그 부분을 수정하면 된다. 이모티콘 뷰어로

내가 만든 이모티콘을 사용해보면서 문제점을 수정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카카오 이모티콘 샵에 들어가서 현재 어떤 이모티콘이 출시되고 팔리는지 분석하고

미승인된 내 이모티콘과 비교해 보면서 문제점을 찾는 것도 좋다. 혼자서는 잘 모르

겠다면 주변 사람들한테 많이 이 물어보는 것도 좋다. 이렇게 수정해서 계속 제안

해도 계속 미승인을 받는다면 포기하고 새로운 콘셉트의 이모티콘을 제안하는 것이 좋다.

내가 느꼈을 때 귀엽고 애정 가는 캐릭터여도 내가 보는 눈과 대중들의 눈은 다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금 더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내 이모티콘을 볼 수 있는 눈을 길러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